삼성 갤럭시 S9 플러스 (SM-G965)
리뷰 목차
목차 닫기- 1제품 소개 및 특징
- 2패키지 및 구성품
- 3본체 외형
- 4간단 외형 비교
- 5기본 / 설정 화면
- 6AP 성능
- 7AP 성능 이슈 확인
- 83D 그래픽 성능
- 9발열 특성
- 10쓰로틀링 특성
- 11오디오 성능 (RMAA)
- 12카메라 테스트 설정
- 13카메라 해상력 및 플레어 테스트
- 14주간 환경 비교 테스트
- 15야간 환경 비교 테스트
- 16실내 환경 비교 테스트
- 17저조도 환경 비교 테스트
- 18접사 비교 테스트
- 19배터리 테스트 세팅
- 20Wi-Fi 환경에서의 배터리 시간 비교
- 21동영상 환경에서의 배터리 시간 비교
- 223D 게임 구동시 배터리 시간 비교
- 23디스플레이 측정(Measurement) 매뉴얼 / 옵션
- 24휘도(Luminance) / 명암비(Contrasrt Ratio)
- 25감마(Gamma) / 색 온도(Color Temperature)
- 26색재현(Color Reproduction Rangle) / 시야각(Viewing Angle)
- 27가독성(Readability)
- 28결론
1 . 제품 소개 및 특징
지난 3월 9일 갤럭시 S 시리즈의 아홉 번째 모델인 삼성 갤럭시 S9 (SM-G960) 및 삼성 갤럭시 S9 플러스 (SM-G965)가 출시되었습니다. 2010년 이후로 해마다 세대를 교체해가면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왔는데, 격동의 초창기에 비해 현재 스마트폰 시장 자체가 침체되어 있기도 하고 재작년에 있었던 갤럭시 노트의 사고로 인해 삼성전자 역시 조심스럽게 움직이는 만큼, 신제품 출시에 따른 활기가 예년보다 다소 약해진 느낌입니다.
물론 국내 출시 전 2월 26일 삼성 갤럭시 언팩 2018에서 공개되었던 갤럭시 S9, 갤럭시 S9 플러스의 정보는 크게 이렇다 할 만한 부분을 찾기 어려웠던 점도 하나의 원인일 것입니다. 최신 AP의 탑재는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기본적인 요소로 넘어간다 치고, 사용자들이 새롭게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카메라 기능, 인텔리전트 스캔(안면 + 홍채 복합인증), AR 기능을 활용한 이모지 기능 정도를 손에 꼽을 수 있겠으며 UHD 해상도 60프레임 동영상 촬영 가능, 빅스비 번역의 실시간화, 스테레오 스피커 탑재로 인한 사용자 경험의 개선 또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외형적으로도 측면 테두리가 유광에서 무광 재질로 변경된 것을 빼면 전작 대비 눈에 띄는 차이점이 없고, 디스플레이나 배터리도 거의 그대로이며 앞서 언급한 기능들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은 다소의 개선은 있어도 역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습니다.
이렇게만 보면 확실히 삼성전자의 플래그쉽 스마트폰 라인업인 갤럭시 S 시리즈의 신제품으로써는 인상이 약해보입니다. 스마트폰 자체가 슬슬 상향평준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혁신적인 무언가를 기대하기도 어려워진 만큼 삼성전자만의 난제라고 볼 수는 없지만, 소비자의 기대치 역시 어쩔 수 없는 부분으로 여겨집니다. 그나마 사용자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후면에 탑재된 지문인식 솔루션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안면, 홍채, 지문 등 생체인식과 관련된 요소들을 꾸준히 유지 및 개선하는 모습을 보이는 부분은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해마다 상승해온 AP의 성능도 기대해볼 만하겠는데... 그럼 삼성 갤럭시 S9 플러스 (SM-G965)의 실제 기기 성능은 어느 정도일지, 벤치마크 및 테스트를 통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Specifications
제품 소개 페이지 : http://www.samsung.com/sec/smartphones/galaxy-s9-plus-g965/SM-G965NZPFKOO/

리뷰 목차
Who's Nakotaku

-
잘봤습니다.
-
리뷰 준비하느라 고생하셨습니다 ㅎㅎ
성능향상폭이 굉장히 놀랍네요. S8도 무지하게 고성능이라 여겼는데 ㄷㄷ다만 전작들이 현 시점에서도 매우 강력한지라 기기 교체의 메리트가 부족하긴 하군요...
-
?
폭풍의용자님 축하합니다! 3점 획득!
-
?
오! 나왔군요!
-
?
잘봤습니다.
Ap테스트에서 오늘 검은사막 s9 한정 기기최대 해상도와 최대프레임 패치를 해줘서 최고옵션이 선택 가능한데요.
이 상황에서도 cpu빅클러스트 클럭이 안올라가는지 궁금하네요.
혹은 다른게임에서도 같은 상황인지도 궁금하네요. -
감자해커님이 말씀하신대로 해상도와 프레임을 "기기최대"로 설정한 후 확인해본 스크린샷입니다.
대개의 상황에서는 8개의 코어 모두 1GHz조차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며,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수치는 비정기적으로 발생합니다. 위 스크린샷을 보면 리틀 클러스터는 1.794GHz까지 올라가는 반면, 버스트 클럭을 사용할 수 있는 빅 클러스터의 경우 최대 1.066GHz까지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검은사막과 같은 고사양의 게임에서조차, 버스트 클럭은 둘째치고 빅 클러스터의 기본 클럭 자체를 100% 활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인데요. 생각해보면 게임 제작사 입장에서는 낮은 스펙의 스마트폰에서도 게임이 구동되도록 해야하기 때문에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GFXBench도 마찬가지지만, 3D 게임은 CPU보다는 GPU의 의존도가 더 높기 때문에 현재로써는 엑시노스 9810 AP의 버스트 클럭까지 끌어다쓰는 게임은 아마 없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
?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오늘 패치해줘서 혹시나..했는데 역시 같은 결과네요.
플웨즈 벤치다보고 나니.. 이정도면 스펙표기 클럭에 베이스클럭이랑 부스트클럭이랑 따로 표기해줘야 맞을정도 인데요 ㅋㅋ -
예약구매한 1인으로서 정독했읍니다.여기저기 나도는 말보다는 플웨즈 리뷰 보면 궁굼증이
그냥 해소 된다는 ㅎㅎ리뷰 준비하느라 수고하셨읍니다~ -
갤럭시 8.5.......
-
?
테스트 결과, 오디오 기능 자체에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교군인 S8 플러스와 비슷한 수준의 측정 결과를 보였습니다.
전작인 갤럭시 S8 플러스와 동일하게 CIRRUS LOGIC사의 고음질 원칩 솔루션인 CS47L93을 DAC로 장착하였고 삼성전자가 인수한 HARMAN International 산하 AKG사와의 협업을 통해 듀얼 드라이버 이어폰을 번들로 제공합니다. 추가로 S9 플러스는 이전보다 사운드 성능을 개선하였다고 하며 전면 상단의 수화부에도 스피커를 추가하여 스테레오 스피커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기존보다 좀 더 나은 사운드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오디오 부분은 s9와 s9plus가 차이있나요??
lg에서 사용하는 ess사의 쿼드dac와 삼성이 사용하는 시러스 로직 CS47L93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체감 차이 많은가요?? -
플웨즈에서 s9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는 어렵지만, 일단 스펙상으로는 s9와 s9 plus의 오디오 기능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또한, 청취감에 있어서는 사용자 개개인의 성향이나 취향이 매우 크게 작용하는 만큼 이 역시 답변을 드리기는 어려우며, 플웨즈의 오디오 성능 항목은 이슈가 있는지의 확인 여부과 기능 소개라는 측면으로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
스마트폰이 이제 발전의 한계가 오니까 카메라 쪽으로 계속 스펙을 올리기는 하는데 이번 제품은 급하게 올리려다가 실패한거 같은 느낌이 강하네요.
-
솔직히 맛폰 리뷰는 플웨즈 따라올 국내 리뷰사이트 없지라
-
아 슈퍼 슬로우 모션!!!
카메라 기능 때문에 S9+가 갖고 싶다는~~~ -
?
Lode Runner님 축하합니다! 3점 획득!
-
크 갖고 싶네요
-
커널이나 스케줄러만 좀 만져주면 전성비, 성능이 확연히 좋아진다고 하던데 과연 해줄지 모르겠네요
-
삼성 갤럭시 S9 플러스 (SM-G965)
지난 3월 9일 갤럭시 S 시리즈의 아홉 번째 모델인 삼성 갤럭시 S9 (SM-G960) 및 삼성 갤럭시 S9 플러스 (SM-G965)가 출시되었습니다. 2010년 이후로 해마다 세대를 교체해가면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왔는데, 격동의 초창기에 비해 현재 스마트폰 시장 자체가 침체되어 있기도 하고 재작년에 있었던 갤럭시 노트의 사고로 ... -
USB-PD + QC 3.0 지원 충전기 PD-BOY
이전까지 USB 방식으로는 높은 전력을 공급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외장 기기를 연결할 때 별도의 전원을 사용해야 하는 기기들이 많았습니다. 이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USB-PD(Power Delivery) 규격이 등장하였습니다. 이 기술은 고속 USB Type-C(High Speed+)를 통해 최대 100W(20A/5V)까지 전력 공급가능한 규... -
GIGABYTE Sabre 17W Dual
지난 리뷰에서 소개해드렸던 GIGABYTE SabrePro 15 Dual(리뷰 링크)은 상위급 모델에서 일부 기능을 제외하여 단가를 낮추면서도 하드웨어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여 좋은 평가를 받은 바 있습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디테일한 부분에서 부족함을 느낄 수도 있었겠으나, 저렴한 가격대로 고성능을 얻을 수 있는 게이밍 노트... -
MSI GP62M 7REX Leopard
2018년이 시작된지도 벌써 한 달이 지나가고, 슬슬 신학기 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신학기 시즌은 사람(또는 연령?)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가 있을 수 있는데, 해마다 조금씩 차이는 나지만 대개 구정 명절과도 시기가 겹치므로 자연스럽게 "대목"에 포함시켜 생각하기도 합니다. 하드웨어 시장도 이에 맞추어 신제품 발... -
LG 울트라 PC GT를 기준으로 알아보는 내장 그래픽/MX150/GTX1050 그래픽 성능 비교
노트북을 구입하기 전 제품의 디자인, 휴대성, 프로세서 같은 다양한 조건들을 살펴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번 구매하면 비교적 큰 돈이 들어가므로 구매하는 입장에서 여러가지 조건을 꼼꼼히 따지는 것은 크게 이상하지 않은 모습입니다. 이런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최근에는 배터리, 그래픽(게... -
GIGABYTE SabrePro 15 Dual WIN10
사용자에게 성능을 제공하는 대부분의 PC 제품들은 등급별로 라인업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그래픽 카드를 꼽을 수 있겠는데, 가격이나 성능을 기준으로 해서 대략적으로 엔트리(로우엔드) / 퍼포먼스(미들엔드, 메인스트림) / 하이엔드, 또는 보급형(저가형)/중급형/고급형 정도로 구분지어 언급하곤 합니다.... -
LG 울트라PC GT (15U780-PA76K)
Intel에서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는 "울트라북"은 Intel이 제안하는 다수의 제한 사항으로 인해 얇고 가벼운 노트북의 대명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제한 사항은 해가 넘어갈 때마다 조금씩 바뀔 수는 있지만 거의 큰 차이없이 유지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14인치 이상일 경우 두께 21mm 이하(터치 스크린 포... -
GIGABYTE Phantasus P56XT UHD Dual WIN10
Phantasus(판타소스) 제품군은 AORUS 브랜드가 생기기 이전부터 존재했던 기가바이트의 대표 게이밍 노트북 제품군으로, CPU / GPU / 디스플레이 크기 등 사양에 따른 세세한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AERO 시리즈와 같이 얇으면서도 고성능을 갖춘 모델도 있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매력적인 제품들이라 ... -
LG 뉴 그램 (15Z980-GA76K)
얇고 가벼운 울트라북의 대표주자라고 볼 수 있는 LG 그램 시리즈는, 매년 출시할 때마다 성능의 향상은 물론 소비자의 피드백을 최대한 반영하는 모습을 보여 폭넓은 유저층의 기대를 받아왔습니다. 호평을 받았던 2017년형 LG 그램에 이어, 예년보다 다소 빠른 시기에 출시가 예정된 이번 LG 뉴 그램 (15Z980-GA76K)은 기... -
AORUS X9 UHD Double
원래 PC 시장에서 시작된 용어는 아니지만, 하이엔드(High-End)라는 단어는 이제 IT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품군 중에서 가장 뛰어난 성능을 가지거나 가격이 제일 비싼 제품"을 일컫는 단어로, PC 시장에서는 보통 해당 라인업 중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가진 제품을 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이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