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k 게이밍 그래픽카드 추천! ASUS ROG STRIX 라데온 RX 5600XT O6G

PC 게임을 즐길 때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는 바로 게이밍 그래픽카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현재 시장에 AMD와 NVIDIA 두 브랜드에서 여러 종류의 제품들을 출시했는데요. 필자가 오늘 리뷰하는 ASUS ROG STRIX 라데온 RX 5600XT O6G 모델은 초기 출시했을 때 보다 가격이 많이 저렴해져서 현재 가격 대비 성능 부분에서 꽤 많은 인기를 얻는 모델인데요. 레이아웃과 성능에 대해서 꼼꼼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8K 그래픽카드 성능순위 알아보자!
왜 지금 주목할까?
사실 라데온 RX 5600XT는 처음 출시했을 때 가성비가 좋아서 굉장히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을 했습니다. 그래서 위기감을 느꼈던 것일까요? NVIDIA에서 비슷한 능력을 가진 라인업 제품들의 가격을 확 떨궈 해당 모델이 출시하면서 힘을 못 쓰는 모습이 안타까웠습니다.
이제는 괜찮다!
엎친 대 덮친 격으로 드라이버의 안정성 및 최적화에 대한 이야기도 말이 많았었죠. 하지만? 현재는 최신 드라이버에서 안정성 이야기가 나오지 못할 만큼 많은 개선을 이루었습니다.
나도 진화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죠? AMD 라이젠 CPU의 별명이 진화하는 CPU입니다. 이런 DNA를 물려받아서일까요? ASUS ROG STRIX 라데온 RX 5600XT O6G 모델도 바이오스 업과 GPU, RAM 클럭이 올라가 그래픽카드 성능순위에서 RTX 2060과 견줄 만큼 엄청 좋아졌습니다.
구성품
구성품은 본체, 케이블 타이, 설명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성품 중 조금 신기한 게, 보조 전원 케이블이 아닌 ROG 로고를 넣은 아주 예쁜 케이블 타이를 제공해 줍니다. 너무 예뻐서 사용하기 아까운데요?
올블랙!
처음 패키지를 개봉하고 본체를 꺼낼 때 우람한 크기에 한번 놀라고 무게에 다시 한번 놀랐습니다. 좋은 부품을 많이 사용해서 그런가? 무게가 정말.. ㅎㄷㄷ 그래서 그런지 필자에게 다가온 첫 느낌은 플래그십 모델의 향기를 풍겼습니다. 게임에서 엄청난 프레임을 보여줄 것 같은데요?
크기 참고
앞서 크기가 크다고 이야기했는데요. 성인 남성의 손을 쫘악 펼쳤을 때 보다 쿨러가 하나 더 들어갈 정도로 큽니다. 그래서 해당 제품을 구매하려고 하시는 분들은 케이스에 장착이 되는지 먼저 생각을 해보셔야 합니다.
참고로 사이즈는 약 303 x 13 x 5.4(mm)입니다.
무거운 이유가 있었네.
본체를 처음 딱 들었을 때 굉장히 무거웠다고 이야기를 했는데요. 무거운 이유가 바로 엄청나게 넓은 면적을 커버하는 히트싱크 때문이었습니다. 또한 중앙에 봉처럼 뻗어나가는 파이프라인은 총 5개로 GPU와 RAM 및 전원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최대한 억제하며 외부로 방출해 줍니다.
여담으로 MaxContact 기술을 사용하여 가장 열이 많이 발생되는 GPU에 2배 더 밀착하여 열전달 능력을 높였습니다.
열? 그거 먹는 거야?
엄청난 히트싱크와 3개의 대형 쿨러의 조합으로 열을 확실하게 잡아줍니다. 또한 GPU 온도가 45도 이하일 때는 팬이 돌지 않게 정지시켜 무소음을 이루어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45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자동으로 팬이 돌아간다는 사실!
팬 같은 경우 ROG 라인업답게 '베리어' 기술을 적용시켜 공기를 압축 시켜 더 강력한 쿨링을 완성시켰습니다.
전원부
원래 뛰어난 스펙을 가지고 있는 제품들은 전기를 많이 먹습니다. 그래서 전원부의 설계가 얼마나 잘 만들어져있느냐에 따라서 능력과 수명이 결정되는데요. 해당 모델의 전원부는 기본적으로 8+6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슈퍼 알로이 파워 II까지 적용하여 클럭의 속도를 순간적으로 변경되더라도 전기를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넣어줍니다. 또한 프리미엄 캐패시터, DrMOS 파워 스테이지와 합금 코어 초크와 같이 고가의 부품을 아낌없이 사용하여 수명에서도 우위에 있습니다.
메탈 프레임
덩치가 크고 무겁다 보니 장시간 사용할 경우 보드가 휘거나 비틀리는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후면에 백플레이트는 필수입니다. 그래서 일반 백플레이트가 아닌 강화된 메탈 프레임을 입혀줬습니다.
후면에 각종 부품이 노출로 보이지 않고 깔끔하면서도 고급스럽게 마감했죠? 또한 방열에도 효과를 보여줄 것 같습니다.
4개 디스플레이 출력!
8K 그래픽카드 성능순위에 관계없이 가장 기본이 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몇 대의 디스플레이를 연결할 수 있느냐입니다. 또한 어떤 출력 방식인지도 중요한데요.
보시다시피 현재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규격인 DP 1.4 3개와 HDMI 2.0b 1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성 자체도 마음에 드는데요?
장착 모습
PCIe 4.0을 지원하기 때문에 대역폭 부분에서 많은 이득을 챙길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많더라도 빠르게 처리하여 병목현상이 생길 수가 없죠. 간단하게 이야기하자면, VGA의 성능을 100% 활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앞의 사진을 보셔서 아시겠지만 메인보드에 연결 후 전원을 넣으면 아주 화려하게 LED가 뿜어져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PC 본체를 꾸미시는 분들에게 엄청 유용하겠더라고요. 또한 LED 색상은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도 있습니다.L
ED가 싫다면?
만약 LED가 싫을 경우 LED ON / OFF 버튼을 통해 간단하게 조명을 OFF할 수도 있습니다.
테스트 사양
본격적인 벤치를 측정하기 앞서 필자가 사용하는 시스템도 알려드려야 되겠죠?
사양은 위와 같습니다.
어? 이상하다..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3D MARK 파스를 돌려봤습니다. 어? 그런데 Graphics score 점수가 18,838점으로 생각보다 너무 낮게 나왔습니다. 하지만 앞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진화하는 녀석이라고 이야기를 했죠? 필자가 리뷰하는 모델은 초기 모델로 진화를 한번 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BIOS 업그레이드!
ASUS 홈페이지에서 해당 모델의 BIOS를 검색하여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는데요.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은 컴퓨터 초보자도 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게 만들어놨습니다.
우선 파일을 다운로드한 뒤 실행파일을 더블클릭하여 문구가 나올 때마다 확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끝납니다. 참고로 업그레이드할 때 시간이 조금 걸릴 수도 있으니 전원을 끄거나 하는 행동은 하지 말아 주세요.
그래 이거지!
BIOS 업그레이드를 마친 후 다시 3D MARK 파스를 실행시켜 봤는데요. 와.. 이거 실화 맞나요? Graphics score 점수가 23,003점이 나왔습니다. NVIDIA RTX 2060 보다 성능이 더 좋게 나왔습니다. 1660Ti 모델은 명함도 못 내밀겠는데요?
엄청난 진화를 맛보았으니 게임도 한번 플레이해보겠습니다.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제품의 포지션 특성상 테스트 해상도는 현재 일반 가정 및 PC방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Full HD로 설정하여 진행하였습니다.
출시된 지 조금 지난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는 아직까지 많은 리뷰어 분들이 테스트하는 게임으로 사용하는데요. 그 이유는 워낙 사양이 높고 그래픽이 엄청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래픽 옵션 가장 높게 설정으로 테스트 결과 평균 59프레임으로 이전 세대의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엄청난 프레임 향상을 볼 수 있었습니다.
어세신크리드 오디세이
어세신크리드 오디세이 역시 사양이 엄청 높기로 유명한 게임입니다. 하지만 여기서도 부드러운 프레임을 보여줬는데요. 총 77fps로 부드럽게 즐기기에 부족하지 않은 수치입니다.
호라이즌 제로 던
PS4에서 엄청 인기를 많이 끌었던 호라이즌 제로 던도 테스트해봤는데요. 옵션은 역시 최고급 품질로 설정을 하였습니다. 워낙 최적화가 잘 안되었다고 욕을 먹고 있지만? 여기서도 평균 79 프레임을 보여주며 선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배그쯤이야..
배틀그라운드는 그래픽 옵션을 Full hd 해상도에 국민 옵션으로 설정을 하였습니다. 풀옵으로 하려다가 적을 가장 잘 보이게 하는 설정이 현실적일 것 같아서요. 그 결과 평균 프레임이 약 90 이상으로 웬만해서는 140 이상의 프레임을 꾸준하게 보여주었습니다.
GTA 5
와치독스2
이외에도 필자가 즐겨 하는 와치독스2(풀옵)와 GTA5(옵션 타협)에서도 훌륭한 FPS를 보여주었습니다. 이거.. 화면 옵션을 좀 좋게 플레이하니 전혀 다른 게임처럼 느껴지고 스토리 모드를 다시 플레이해주게 만들어주는데요?
요약
플레이한 게임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요약을 해봤습니다. 최저 FPS도 꽤 방어가 잘 되고, 평균 FPS를 봤을 때 거의 대부분의 게임들에 대해서 FULL HD 해상도 설정 후 부드럽고 쾌적하게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온도도 착하네.
개인적으로 가장 궁금했던 부분 중 하나는 바로 온도였습니다. 날씨가 선선해졌지만, 내년 여름을 준비해야 되니깐요.
실내 온도는 약 26~27도 사이로 측정되고 있는 상태에서 엄청난 방열 시스템을 통해 과부하를 많이 주더라도 60도 초반밖에 찍히지 않더라고요. 열도 많이 안 받으니 수명은 엄청 길 듯!
유튜브도 문제없다!
이전 라데온 시리즈에서 유튜브에서 4K 해상도의 영상을 볼 때 끊기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해당 문제는 바로 VP9 코덱의 가속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었는데요. 하지만 RX 5600XT에서는 VP9 가속을 지원하기 때문에 4K 해상도의 영상을 보더라도 끊김 없이 시청이 가능했습니다. 단. 8K 영상은 시청할 때 GPU를 100% 점유하며 끊김이 발생하더라고요. 이건 차후 드라이버를 통해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오버도 된다.
마지막으로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컴퓨터 초보자도 아주 쉽게 성능을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물론 LED 컬러 조절도 가능하며, 용도에 맞게 클럭을 조절하여, 전력도 줄여나갈 수 있습니다.
결론
충분히 훌륭하다!
최근 NVIDIA에서 RTX 3080을 출시하여 곧 3060도 나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중급형 모델은 조금 나중에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지금 당장 가성비 좋은 8K 게이밍 그래픽카드를 추천해달라고 하면 ASUS ROG STRIX 라데온 RX 5600XT O6G도 좋은 선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Who's 하얀북극곰
